서울시, 관광객 3천만명 시대 견인할 계획발표 … 마이스 산업 생태계 이끌 인재 육성도 앞장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일대와 서울역 북부역세권, 마곡동 일대가 마이스(MICE, 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거점으로 관련 인프라가 2030년까지 3.5배로 확충된다.
서울시는 '서울마이스얼라이언스'(SMA) 연례총회를 하루 앞둔 23일 이 같은 '서울 마이스 중기 발전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민자 개발사업을 통해 잠실종합운동장 일대, 서울역 북부역세권, 마곡 등에 전시컨벤션 시설을 현재 6만5000㎡의 3.5배 수준인 23만㎡로 확대해 관광객 3000만명 시대를 이끌겠다는 청사진이다.
서울시는 서남권(마곡), 도심권(서울역)·동남권(잠실)의 3개 거점에 '마이스 협력단지(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쇼핑, 문화, 관광 등 즐길 거리와 교통·편의시설을 집약하기로 했다. 그동안 국제회의, 박람회 등으로 국한됐던 마이스의 범위를 E-스포츠 대회 등 국제행사로 확대해 유치하고, 미국 라스베이거스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처럼 서울의 대표적인 마이스 행사를 만들기로 했다.
이를 위해 뷰티, K-컬처 등 서울이 강점을 지닌 분야의 마이스 행사를 기획해 서울 전역과 온라인 공간에서 동시에 개최하고, 대체불가토큰(NFT) 결제까지 이어지는 하이브리드 마이스를 개발한다.
서울시가 구축한 온라인 마이스 행사 플랫폼 '버추얼 서울 2.0'은 현실과 가상세계가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형 융합 플랫폼으로 고도화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수요자 중심 시스템도 도입한다.
올해 8월 세계 최대 전기차 경주대회인 '포뮬러-E'와 연계해 개최한 '서울페스타'는 내년부터 매년 5월 개최한다.
지속가능한 마이스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미래 인재를 육성하는 데도 앞장선다.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에 마이스 기업 입주공간을 만들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제도를 실천하는 기업을 위한 포상제도를 신설한다. 신규 인력부터 관리자까지 경력 주기별 마이스 교육과 강의를 상시로 진행하는 '서울 마이스 캠퍼스'도 설립한다.
서울시는 인적 네트워크가 중요한 자산인 마이스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국내외 민관 거버넌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국내에서 300개 이상의 마이스 업계로 구성된 SMA를 활성화하고, 국외에선 미국 뉴욕·라스베이거스, 싱가포르 등 주요 도시의 전문 에이전트와 전략적 제휴를 맺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