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30일자로 사업을 종료하겠다고 직원들에게 통보해 논란을 빚어온 유제품 기업 푸르밀이 직원 30% 감원을 조건으로 사업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사업종료 계획을 밝힌 지 24일 만에 철회하면서 노사 갈등은 일단 봉합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구조조정과 납품 재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푸르밀은 10일 대국민 호소문을 내고 "기존 사업종료 발표를 철회하고, 구조를 슬림화해 효율성을 바탕으로 회사 영업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45년 전 창업 초심으로 돌아가 재도전하겠다"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드리게 돼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지난달 17일 푸르밀 경영진은 직원들에게 사업을 종료한다는 사실과 함께 일방적인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이에 대해 푸르밀 직원 400여명은 갑작스러운 사업종료 통보로 생계가 막막해졌다며 반발해왔다. 푸르밀 대리점주와 원유를 공급해온 농가들도 큰 피해를 보게 됐다며 집단행동을 벌였다.
푸르밀은 "누적된 적자로 경영위기를 넘어 회사 존폐를 고민할 상황에 이르렀다"며 "현금 유동성마저 고갈돼 직원들에게 정상적인 급여 지급이 가능한 날까지만 사업을 영위하겠다고 발표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유제품 소비 감소, 재료비·유류대 상승 등으로 2018∼2021년 4년 동안 300억원 넘는 적자가 발생했고, 올해도 180억원 적자가 예상된다.
직원들과 협력업체의 반발이 거세자 신동환 푸르밀 대표는 지난달 24일 노조와 만나 상생안을 찾기로 했고, 그동안 교섭을 통해 견해차를 좁혔다. 지난 8일 4차 노사 교섭에서 인원을 30% 감축하는 대신 사업을 유지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푸르밀은 감원과 관련해 우선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하지만 사업 정상화에는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그동안 사업을 정리해온 만큼 거래처에서 다시 재료를 공급받아야 하고, 대리점·농가와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푸르밀은 '비피더스' '검은콩이 들어 있는 우유' '바나나킥 우유' 등 제품을 선보이는 유제품 기업이다. 1978년 롯데그룹 산하 롯데유업으로 출발했다가 2007년 4월 그룹에서 분사했고 2009년 사명을 푸르밀로 바꿨다.
회사 주식 지분은 신준호 전 회장이 60.0%를 보유하고 있고, 신 전 회장의 장녀 신경아 대선건설 대표가 12.6%, 차남인 신동환 대표가 10.0%, 손자 2명의 지분이 각각 4.8%, 2.6%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