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연구원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 보고서서 0.01∼ 0.06%포인트 하락 분석
우리 기업의 직접투자 비중 낮고 거의 현지진출 목적이어서 단기영향도 작아
우리 기업의 직접투자 비중 낮고 거의 현지진출 목적이어서 단기영향도 작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수출 규제가 장기화하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01∼0.06%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책연구원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1일 발표한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수출통제(FDPR)의 장기화만으로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01∼0.06%포인트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 해외직접 생산규정(FDPR) 규제를 적용한 품목의 대(對)러시아 수출이 세계적으로 금지되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분석한 것이다. 중국이 FDPR 규제에 동참하는 경우 우리나라경제성장률은 0.06%포인트, 중국이 불참하는 경우 0.01%포인트 각각 낮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교역 및 투자 구조를 고려할 때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러시아에 대한 제재가 장기화한다면 우리나라 교역에 유의미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는 또한 금융의 불확실성 확대,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세계 경제의 성장세 둔화 등의 파급 경로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우리 기업의 러시아 직접투자 규모는 해외 직접투자의 1% 미만으로 낮고, 대부분 현지 진출이 목적이어서 단기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러시아에 대한 제재로 인해 자동차, 전자, 식료품 제조업을 중심으로 현지 진출 기업의 생산 차질과 매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