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꿈틀대는 강남도 강세 … 인천시 제외 5대 광역시 최고 상승률 기록

전세 물건을 찾기 어려워지자 전세 수요가 중저가 주택 매매 수요로 돌아서며 전국 주요 도시 아파트값이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은 12월 첫째 주(7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이 0.27% 상승해 지난주(0.24%)보다 오름폭이 커졌다고 10일 밝혔다. 이 같은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래 8년 7개월 만에 최고치다.
전국 아파트값은 3주 전 0.25% 올라 8년 반 만에 최고를 기록한 뒤 2주 전 0.23% 상승으로 오름폭이 줄었다. 이어 지난주 0.24% 상승으로 반등했다가 이번 주 0.27%로 상승폭이 커졌다. 임대차 2법 시행 이후 서울과 수도권의 전세 품귀로 전셋값이 뛰자 전세 수요 일부가 중저가 주택 매수로 돌아서면서 집값을 밀어 올린 결과다.
서울 아파트값은 이번 주 0.03%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동안 진정되는 분위기였던 강남권 아파트값이 다시 들썩이며 강남구(0.05%), 송파구(0.04%), 서초·강동구(0.03%) 등 강남 4구의 상승폭이 비교적 컸다.
부동산원은 "정비사업 진척 기대감이 있는 개포동, 압구정동, 상계동 지역과 중저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가격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이 0.18%로 지난주(0.16%)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경기도는 지난주 0.24% 상승에서 이번 주 0.27% 상승으로, 인천도 0.13% 상승에서 0.15% 상승으로 각각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달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인 김포시는 규제 직전 11월 셋째 주 상승률 2.73%에서 규제 이후 3주 째 0.98%→0.39%→0.32%로 상승률이 낮아지는 모습이다. 반면 규제를 비껴간 파주시는 풍선효과의 영향으로 이번 주까지 3주 연속 1.06%→1.38%→1.18%로 1% 넘는 상승률을 나타냈다.
지방 아파트값은 이번 주 0.35% 올라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 폭으로 상승했다. 수도권인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 아파트값도 지난주 0.44% 오른 데 이어 이번 주 0.50% 상승하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산은 이번 주 0.58% 올라 지난주(0.50%)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8개도 아파트값도 이번 주 0.23% 오르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세난도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29%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66주 연속 상승이다.
서울 전셋값은 이번 주 0.14% 상승으로 76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24% 상승했다. 경기(0.27%→0.27%)와 인천(0.37%→0.37%) 모두 지난주와 상승률이 같았다. 지방 아파트 전셋값도 지난주처럼 0.34% 올라 3주 연속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