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만6천건…작년 동기비 118%증가
지방에선 세종·부산 '거래량 눈에 띄네'

6·17대책과 7·10 대책 등 잇따른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 7월 전국 주택 매매량이 공식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올해 1~7월 누계 거래량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 집계에 따르면 7월 주택 매매량은 14만1419건으로 전달 대비 2.1%, 작년 동월 대비 110.0% 증가했다. 1~7월 누계 거래량은 76만2297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99.8% 늘었다.
7월과 1~7월 누계 거래량은 각각 정부가 2006년 주택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많았다. 7월 거래량은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된 것으로 6월에 이뤄진 거래도 일부 포함된다.
수도권 전역을 규제지역으로 묶고 강남 4개동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6·17 대책 이후 오히려 주택 거래량이 늘어난 것은 규제의 약발이 먹히기보다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불안감에 '패닉바잉' 현상이 심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국토부는 "부동산 대책 내용이 바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시차를 두고 이행되므로 7월 주택 거래량만 보고 정책 효과를 거론하기는 이른 감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꺾이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어 집값은 결국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7월 주택 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만5725건으로 전달 대비 0.3%, 작년 동월 대비 119.7% 증가했다. 서울 거래량은 2만6662건으로 전달에 비해 37.0%, 작년 동월 대비 117.5% 늘어 수도권에서도 서울의 주택 거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방은 6만5694건으로 전달 대비 4.2%, 작년 동월 대비 99.8% 증가했다. 최근 수도 이전 논란으로 뜨거운 세종시의 경우 7월 거래량이 1666건으로 전달 대비 1.2%, 작년 동월 대비 404.8% 증가했다. 부산도 1만2615건으로 거래량이 1년 전보다 238.1% 늘어나면서 과열 현상을 나타냈다.
전국 7월 거래를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가 10만2628건으로 전달보다 0.1% 늘어난 데 비해 아파트 외 주택은 3만8791건으로 7.5% 증가했다.
7월 확정일자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한 전월세 거래는 18만3266건으로 전달 대비 2.4% 감소했고, 작년 동월 대비로는 11.8% 증가했다. 임대차 3법 중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가 7월 31일 전격 시행됐으므로 임대차 3법 시행의 직접적 영향은 없다.
수도권(12만5622건)은 전달 대비 3.0% 줄었고 작년 동월 대비 15.1% 증가했다. 지방(5만7644건)은 전달보다 1.1% 감소했고 작년 동월에 비해선 5.3% 늘었다.
전세(11만2470건)는 전달보다 3.6%, 작년 동월 대비로는 14.6% 증가했다. 월세(7만796건)는 전달 대비 10.7% 감소했고, 작년 동월 대비 7.8% 증가했다.
7월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38.6%로 작년 동월(40.1%) 대비 1.5%포인트 감소했고 전달(42.2%) 대비로는 3.6%포인트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