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우리나라 정부와 국내 4개 기업(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총 26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는 10월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 네이버 이해진 의장과 함께 이재명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이런 '한국 인프라·기술 발전 AI 이니셔티브' 플랜을 밝혔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에 최대 5만개 GPU를 배치해 기업과 산업의 AI 개발을 지원한다. 삼성과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최대 5만개 GPU를,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개 GPU를 도입한다.
아울러 엔비디아는 AI 네이티브(내장) 6G 무선 네트워크, AI 무선 접속망(RAN) 개발에도 협력한다. 여기에는 삼성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연세대학교가 함께한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양자 컴퓨팅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국가 슈퍼 컴퓨터 '한강'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양자 컴퓨팅 연구도 추진한다. LG와는 로보틱스 기술을 발전시키고,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을 활용해 스타트업과 학계의 암 진단 연구 생태계를 지원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오늘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젠슨 황은 "AI 인프라 구축, 인재 및 스타트업 육성,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를 포함하는 여러 측면에서 한국 기업과 실질적 협력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 "미국은 소프트웨어에 강점이 있지만 제조업이 약하고, 유럽은 반대로 제조업이 강하지만 소프트웨어가 약한데 한국은 두 역량을 두루 갖췄다"며 "한국이 AI 분야 리더가 될 가능성은 무한대"라고 말했다.
이어 이날 저녁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미디어 질의응답(Q&A) 행사에서 젠슨 황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뛰어난 기술 역량을 지닌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으로 두 회사 모두 엔비디아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젠슨 황은 "우리는 두 회사 모두 성공적으로 협력하고 있고 선택할 필요가 없다. 그들은 '치맥 브라더스'"라고 강조한 뒤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장기적인 파트너가 돼 HBM4, HBM5, HPM97까지도 함께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당사의 첫 그래픽카드 NV1에 삼성의 D램을 탑재했던 초기 협업에서 시작해 현재의 HBM3E·HBM4 핵심 공급 협력에 이르기까지 20년 넘게 강한 동맹 관계가 이어져 왔다"고 밝혀 삼성전자가 HBM4도 공급할 것임을 시사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HBM4 샘플을 출하한 상태다. 삼성전자는 3분기 실적 컨퍼런스홀에서 "내년 HBM 생산 계획은 올해 대비 매우 대폭 확대 수립했다"며 "내년 HBM 생산 계획분에 대한 고객 수요를 이미 확보했다"고 밝혔다.
젠슨 황은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로보틱스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모두 만들고 있다"고 답했다.
젠슨 황 CEO는 간담회를 끝으로 1박 2일 방한 일정을 마친 뒤 자가용 비행기로 영국 런던으로 떠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