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전용면적 59㎡의 청약 경쟁률이 '국민 평형' 84㎡보다 4년째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분양가격이 올라 자금을 마련하기 힘든 데다 건설사들이 소형 아파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있고, 1~2인 가구가 많은 가구 행태 변화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올해 들어 8월 25일까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해 9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에서 전용 59㎡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9.2대 1로 84㎡(5.5대 1)의 3배를 웃돌았다. 특히 수도권 지역은 59㎡ 경쟁률이 28.3대 1로 84㎡(4.8대 1)의 6배에 가까웠다.
소형 아파트의 분양 경쟁률 강세 현상은 2022년 59㎡가 9.0대 1, 84㎡가 5.9대 1로 경쟁률 역전이 발생하며 처음 나타났다. 2023년에도 비슷한 상황이 이어지다 지난해 59㎡ 27.2대 1, 84㎡ 10.3대 1로 격차가 커졌다.
공급 추세를 보면 수도권 59㎡ 공급 물량은 2020년 모집공고 기준 7월까지 8934가구였는데 올해 같은 기간에는 3319가구로 약 40% 감소했다. 이와 달리 84㎡는 1만5930가구에서 1만2628가구로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59㎡ 공급이 눈에 띄게 줄어든 가운데 수요가 많아 경쟁률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리얼하우스는 "최근 4년간 데이터를 보면 민간 아파트 청약의 무게 중심이 전통적인 국민 평형 84㎡에서 59㎡로 뚜렷하게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며 "대출 규제와 고금리 상황에서 초기 자금 부담이 적은 소형 평형이 상대적으로 유리하고, 건설사들이 59㎡에도 드레스룸, 팬트리 등의 특화 공간을 배치하는 등 상품성을 높여 '작지만 똑똑한 집'이라는 인식이 확산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통계청이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11월 1일 기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 중 1인 가구가 804만 가구로 전체 가구(2229만 가구)의 36.1%를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2인 가구가 648만 가구(29.0%), 3인 가구 429만 가구(18.8%), 4인 가구 284만 가구(12.7%)의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