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과급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SK하이닉스 노사가 임금교섭 3개월 만에 초과이익분배금(PS) 상한선 폐지와 매해 영업이익의 10% 전체를 PS 재원으로 활용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시장의 예상대로 SK하이닉스가 올해 37조원의 영업이익을 낼 경우 1인당 1억원 수준의 성과급을 받을 전망이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전임직(생산직) 노조는 1일 이런 내용의 '2025년 임금교섭 잠정합의안'을 마련해 구성원들에게 설명했다. 합의안은 기존 PS 지급 한도(최대 1000%)를 폐지하고, 매해 영업이익의 10% 전체를 재원으로 삼아 PS 산정 금액의 80%는 당해 지급, 나머지 20%는 2년에 걸쳐 이연 지급(매년 10%씩)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성과급 기준은 향후 10년간 적용된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해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 기존에도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조항이 있었지만, PS 상한 기준에 따라 영업이익의 10%가 모두 활용되지 못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재원인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전액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측과 갈등을 빚었다.
증권사들이 전망하는 SK하이닉스의 올해 영업이익은 37조~39조원이다. 예상대로라면 PS 재원은 약 3조7000억원(10%)이다. 상한선 폐지로 10% 재원이 모두 사용될 가능성도 커졌다.
개인별 연차나 성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SK하이닉스 전체 구성원 3만3000여명으로 단순 계산하면 구성원 1인당 총 1억1000만원 수준의 성과급(PS)을 받게 된다. 아울러 바뀐 기준에 따라 내년 초 80%(약 8800만원)를, 2027년과 2028년에는 1100만원씩 나눠 받는다.
SK하이닉스 노사는 올해 임금 6.0% 인상에도 잠정 합의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노사합의와 관련해 " 반도체 사업 전망이 불투명한데 이익이 많이 났다고 많이 나줘주라고 한다면, 적자가 날 경우 노조의 입장이 어떻게 바뀔지 궁금하다"며 비판적인 시각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