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집값이 오르고 예금 등 금융자산도 늘어 1인당 평균 가계순자산이 약 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5251만원으로 추정됐다. 2023년 말(2억4450만원) 대비 3.3% 늘었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는 가계 부문을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3068조원)을 추계인구 5175만명으로 나눈 값이다.
시장환율(2024년 중 1363원/달러)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5000달러로 미국(52만1000달러)·오스트레일리아(40만1000달러)·캐나다(29만5000달러)·프랑스(23만달러)·영국(20만6000달러)보다 적지만 일본(18만달러)보다는 많았다. 2022년 처음 일본을 앞지른 뒤 3년 연속 우위를 지켰다.
구매력평가환율(2024년 중 933원/달러) 기준으로는 한국(27만1000달러)이 일본(24만8000달러)뿐 아니라 영국(23만3000달러)도 앞섰다. 이 기준의 우리나라 1인당 가계 순자산은 각각 2019년, 2021년 일본과 영국을 추월한 뒤 역전을 허용하지 않았다.
미국(52만1000달러)·오스트레일리아(41만5000달러)·캐나다(33만8000달러)·독일(30만8000달러)·프랑스(27만6000달러)는 우리나라를 웃돌았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3068조원)은 2023년보다 1.8%(424조원) 늘었다. 집값 상승으로 4.1%(264조원) 증가한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2.2%(215조원) 늘었다. 현금·예금과 보험·연금이 각각 5.1%(122조원), 8.3%(121조원) 늘어나 금융자산도 5.1%(263조원) 증가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주택이 50.9%로 가장 컸다. 이어 주택 이외 부동산 23.7%, 현금·예금 19.4%, 보험·연금 12.1%의 순서였다.
모든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국민순자산은 2경4105조원으로 2023년보다 5.3%(1217조원) 늘었다. 증가율이 2023년(1.3%)보다 높아졌지만, 지난해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2557조원) 대비 배율은 9.4배로 2023년 말(9.5배)보다 떨어졌다. 명목 GDP 증가율(6.2%)이 국민순자산 증가율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명목 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2021년(9.9배) 이후 계속 하락했다.
국민순자산 가운데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2023년보다 2.6%(431조원) 많은 1경7165조원으로 집계됐다. 집값이 오르면서 주택 시가총액은 7158조원으로 4.2% 늘었다. 3년 만의 반등이다. 주택 시가총액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사이 67.7%에서 68.7%로 1%포인트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