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 효과로 3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HBM 매출은 전 분기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24일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7조3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영업손실 1조7920억원)와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17조5731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대비 93.8% 증가했다. 순이익은 5조7534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
매출은 2분기 16조4233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지 1분기 만에 다시 새 기록을 썼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반도체 슈퍼 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영업이익 6조4724억원, 순이익 4조6922억원)을 6년 만에 경신했다.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수요가 급증한 HBM 시장의 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가운데 낸드에서도 고용량 기업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eSSD) 수요가 늘며 성장세를 뒷받침한 결과다. 생성형 AI가 멀티모달 형태로 발전하고, 범용 인공지능(AGI) 개발을 위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내년에도 AI 서버용 메모리 수요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도 AI 메모리 세계 1위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판매를 늘리며 수익성에 치중하는 전략을 지속할 방침이다. D램의 경우 기존 HBM3에서 HBM3E 8단 제품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으며, HBM3E 12단 제품의 공급도 예정대로 4분기에 시작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 시장의 '큰손' 고객인 엔비디아에 지난 3월 HBM 5세대인 HBM3E 8단을 업계 최초로 납품하기 시작한 데 이어 9월에는 HBM3E 12단 제품도 세계 최초로 양산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