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소금속 외에 원자력 잠수함에 쓰이는 비스무트 등 군수용소재 생산기술 유출도 걱정

고려아연은 21일 "희소금속에 이어 전략광물자원 공급차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고려아연의 경영권이 외국계 사모펀드인 MBK로 넘어가면 국내공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경고로 풀이되고 있다. 아연과 연, 은, 금 등 주요산업 소재와 최근 중요성이 부각된 희소금속 외에 고려아연은 국내 방위산업용 전략물자 측면에서 거의 유일하게 생산 역할을 하는 기업이어서 그렇다는 뜻이다.
실제로 고려아연은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최근 중국이 안티모니 수출 통제에 나선 상황에서 국내 영향이 적었던 건 고려아연이 기존 60% 물량을 공급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이를 추가 공급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투기자본MBK, 그리고 고려아연과 사업영역이 겹치는 아연과 은 등에서 수익조차 내지 못하는 영풍이 이런 전략광물자원을 관리하고 생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MBK-영풍의 M&A시도를 강하게 비난했다. 전략광물 생산기술 유출 가능성도 내비쳤다.
고려아연이 이날 대표적인 전략광물자원으로 꼽은 것은 바로 비스무트다. 비스무트는 4세대 소형 원자로와 원자력 잠수함에 쓰이는 전략물자이다. 특히 이 자원을 수출할 때는 건별로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매우 중요한 품목이다. 비스무트는 유럽연합 EU도 전략 원자재로 선정했다.
또한 비스무트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대비해 전자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네오디뮴 자석의 대체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고려아연은 연간 약 900톤의 비스무트를 생산해 국내 방위산업 등 전략산업에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이 비스무트 다음으로 꼽은 전략광물은 안티모니다. 섬유와 플라스틱, 전자기기 등에 첨가해 불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 국내 안티모니 시장의 규모는 연간 약 4,000톤으로 고려아연이 그 중 약 60%에 해당하는 물량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