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가 넉 달 연속 2%대 오름세를 보였다. 하지만 석유류 가격은 국제유가 상승과 유류세 인하분 일부 환원으로 21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3(2020년 100 기준)으로 지난해 7월 대비 2.6%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3월 3.1%로 높아졌다가 4월(2.9%)부터 2%대로 내려갔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년 대비 5.5% 상승했다. 축산물(2.2%)과 수산물(0.9%) 가격이 안정된 반면 농산물은 9.0% 상승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사과(39.6%) 등 과일 가격 강세도 계속됐다. 특히 배 값은 154.6% 올라 통계 조사 이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6월과 비교해선 상추(57.2%)와 시금치(62.1%), 배추(27.3%) 등 채소류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통계청은 "폭우 등 기상 상황 영향으로 생육 주기가 짧은 채소류 가격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석유류도 8.4% 오르며 2022년 10월(10.3%)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유류세 인하폭 축소와 국제유가 상승,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지난해 7월과 비교하는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외식 물가는 2.9%, 외식 제외 서비스 물가는 3.0% 각각 상승했다. 통계청은 "보험 서비스와 공공주택 관리비 상승의 영향으로 외식 제외 물가 오름세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수는 2%대 초반으로 안정된 흐름을 보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2% 상승했다.
하지만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0% 상승했다. 식품 물가가 3.4% 올랐고 식품 이외 물가는 2.7% 상승했다. 밥상 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 지수는 지난해 7월보다 7.7% 상승했다. 신선어개(-1.0%)와 신선채소(-1.7%) 가격이 내려간 반면 신선과실은 21.3%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