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가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기스로부터 신용평가 A등급을 획득했다.
현대차그룹은 무디스가 현대차·기아· 현대모비스의 신용등급을 기존 'Baa1'에서 'A3'로 상향했다고 6일 밝혔다.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stable)'으로 제시했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가 무디스로부터 신용등급 'A등급'을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 기업은 2012년 10월 무디스로부터 신용등급 Baa1을 획득했다.
무디스는 "현대차·기아가 한국 시장에서 보유한 강력한 지위, 주요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다각화된 시장 포트폴리오 등을 등급 평가에 반영했다"며 "두 기업의 주요 부문 간 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도 고려해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A3는 무디스의 21개 신용등급 중 상위 7번째에 해당한다. 세계적으로 A등급을 획득한 자동차 기업은 현대차와 기아를 비롯해 도요타와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8개사에 불과하다.
무디스는 지난해 2월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조정하며 신용등급 상향을 예고했다. 무디스는 2024∼2025년 현대차와 기아의 합산 조정 상각전 영업이익(EBITA) 마진을 신용등급 A등급이 부여된 다른 자동차 업체들과 유사한 10∼11%로 예상했다. 또한 현대차와 기아가 브랜드와 제품 경쟁력 향상에 기반해 판매량 증가세 둔화와 인센티브 비용 증가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또 다른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지난달 현대차·기아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S&P도 머지 않아 현재 신용등급 BBB+에서 A 등급으로 상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합산 매출 262조4720억원, 합산 영업이익 26조7348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모비스도 지난해 매출 59조2544억원, 영업이익 2조2953억원으로 각각 2022년 대비 14.2%, 13.3%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