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R&D)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전열 재정비

현대차·기아가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R&D)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조직을 개편한다. 이와 관련해 연구개발 수장을 맡아온 김용화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이 6개월 만에 물러난다.
현대차·기아는 혁신 연구개발 전담 조직 신설을 포함한 세부 개편안을 내년 1월 발표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새 연구개발 조직은 전통적인 차량 개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차세대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 간 구조 통합 최적화, 원가 혁신 시도 등을 주도한다.
현대차·기아는 그동안 전기차 업체 간 가격 경쟁 심화,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전환 가속화 등 글로벌 자동차 개발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혁신 기술과 차량 개발을 다각도로 추진해왔다. 현대차그룹 글로벌 소프트웨어(SW)센터인 포티투닷(42dot)과 현대차·기아 내 조직인 최고기술책임자(CTO), 글로벌 전략 오피스(GSO),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본부 등이 각각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 변화에 대응해왔다.
이런 가운데 연구개발 조직 분산과 리더십 이원화에 따른 혁신 전략의 일관성 부족, 협업 체계의 복잡성 등이 연구개발 속도를 늦추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술 간 시너지를 통해 SDV를 포함한 미래차 경쟁력을 조기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 조직 개편을 추진하게 됐다고 현대차·기아는 밝혔다.
현대차·기아의 기술 개발을 총괄해온 김용화 사장은 이번 조직 개편으로 일선에서 물러나 고문으로 위촉됐다. 김 사장은 지난 6월 승진하며 CTO로 임명됐는데 6개월 만에 퇴진하게 됐다. 현대차그룹은 내년 1월 새 CTO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