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가전제품에 접목하고, AI 데이터 처리를 원활하게 할 전용 칩셋 개발에 나섰다. 생성형 AI와 칩셋 모두 내년에 제품 적용이 목표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생활가전사업부 S/W개발팀장 유미영 부사장은 2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IFA 2023'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요즘 화두인 생성형 AI를 가전제품에 적용하려고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미영 부사장은 "생성형 AI를 접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고 있고, 보이스(음성), 비전, 디스플레이 3가지 영역에 접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며 "AI는 크게 온디바이스 버전과 클라우드 버전이 있는데 대부분 클라우드 버전으로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생성형 AI를 적용하면 삼성전자의 AI 음성 비서 '빅스비'를 통해 더욱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다. 유 부사장은 "지금도 빅스비가 상당히 좋지만 자연스럽게 대화하기가 좀 어렵다"며 "나의 상황을 인식하지 못한다든지 내가 말한 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생성형 AI를 적용하면 실질적으로 내가 어떤 의미로 이야기하는지 이해하거나, 현재 내 상황이나 집안 상황에 맞춰서 적절하게 기기를 제어하는 등의 방식이 확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부사장은 "현재 냉장고 비전 기술로는 카메라에서 보는 사물이 겹쳐 있어 뒤에 있으면 잘 인식할 수 없다"며 "앞으로 생성형 AI를 적용하면 앞에 있는 제품과 뒤에 가려진 제품을 알 수 있는 고도화된 솔루션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생성형 AI가 돌아가면서 가전이 인식하고 처리하는 데이터 수가 많아지면 에너지 소모도 늘어난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AI 관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전용 칩셋을 개발해 기기가 24시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면서 소비 에너지를 줄일 계획이다.
유 부사장은 "AI 기술을 적용할 때 전력을 많이 소모하면 소비자에게 좋지 않은 경험을 줄 수 있다"며 "24시간 AI가 돌면서도 0.1와트 이하 초전력으로 돌아가는 최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칩셋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