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경기 부진 점진적으로 완화" 분석…제조업과 반도체 '부진 탈출'

한국경제가 저점을 지나 반등하기 시작했다는 국책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진단이 나왔다. 반도체 경기의 부진이 완화된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내놓은 '8월 경제 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경제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7월 경제 동향에서 '경기 저점을 지나가고 있다'고 판단한 데 이어 8월에는 회복세에 올라섰다고 진단했다.
KDI는 지난 1월 경기가 둔화 국면에 들어섰다고 판단한 뒤 5월까지 경기 부진 국면으로 진단했다.
KDI가 경기 회복세로 판단한 가장 큰 배경은 반도체 경기 부진의 완화다. 반도체 수출물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기준 4월에 1.3% 감소했다가 5월에 8.1%로 반등한 뒤 6월에는 21.6%의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도체 생산 감소율은 5월 –18.7%에서 6월 -15.9%로 감소폭이 축소되고 출하와 재고도 개선되는 모습이다. 제조업 재고율도 5월 122.7%에서 6월 111.4%로 낮아지면서 앞으로 부진이 완화될 것임을 예고했다.
KDI는 다만 최근 원유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중국의 경기회복 지연 등의 하방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6월 배럴당 평균 75달러였던 두바이유 가격은 8월 1∼3일 평균 85.4달러로 올랐다. 중국의 2분기 성장률은 전기 대비 0.8%에 그쳐 경기 회복세가 약화하는 모습이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