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스위스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CS) 위기 등 미국·유럽 은행의 부실 후폭풍으로 일본 돈 엔화가 안전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경제 전문 블룸버그통신은 28일(현지시간) 미국·유럽 은행권의 위기로 미국 달러화와 스위스 프랑화의 안전자산 지위가 타격을 입으면서 엔화가 다시 선호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달 들어 달러화 대비 엔화 가치는 이날까지 3.8% 상승해 달러를 제외한 세계 주요 10개국 통화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통상 미국 은행주 가격이 급락하면 달러화 가치가 오른다. 하지만,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은행권 불안을 반영해 높은 기준금리를 장기간 유지한다는 통화정책 기조를 바꿀 것으로 보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엔화 약세 베팅의 근거가 약해졌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 월가도 엔화 전망을 약세에서 강세로 조정하고 있다. 알리안츠 글로벌은 경기 침체 전망에 엔화를 포함해 방어적인 거래를 하고 있다. 도이체방크의 투자 부문인 DWS 그룹은 엔화 가치가 앞으로 1년간 달러당 125엔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모건스탠리는 더 나아가 엔화 가치가 달러당 120엔까지(약 9%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UBS 그룹 애널리스트들은 은행 부문 스트레스가 미국 지역에 집중될 것이며 유로화와 엔화가 계속 선호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 더해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수년간 유지해온 통화완화 정책을 곧 끝내고 통화긴축에 돌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엔화 강세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해 미 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잇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데도 일본은행은 통화완화 정책을 고수한 것이 엔화 약세에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엔/달러 환율은 한국시간 29일 오후 5시 무렵 전장보다 1.08엔 오른 132.04엔 수준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