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단체여행이 늘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자가 많아지면서 지난달 오락·문화 물가가 14년여 만에 가장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월 지출 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 중 오락·문화 물가지수는 105.86으로 1년 전보다 4.3% 올랐다. 이는 2008년 12월(4.6%) 이후 14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였던 오락·문화 물가 상승률은 2020년 12월 플러스(+)로 전환했다. 코로나19 사태 영향이 지속된 지난해 2월까지는 상승률이 0∼1%대에 그쳤다가 이후 점차 확대됐다.
2월 오락·문화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포스트 코로나 체제 이후 살아난 단체여행이다. 2월 단체여행비는 9.3% 올랐다. 특히 해외 단체여행비가 13.3% 올랐다. 해외 단체여행비는 지난해 12월부터 석 달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2월 중 국내 단체여행비는 4.1% 올랐다.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늘어나면서 관련 제품·서비스 가격이 오른 것도 오락·문화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2월 반려동물용품 가격은 9.4% 올랐고, 반려동물 관리비는 4.4% 상승했다.
넷플릭스·왓챠·웨이브 등 OTT와 게임 아이템 등 온라인 콘텐츠 이용료도 3.1% 올랐다. 야외활동이 늘면서 등산·캠핑 등 레저용품 가격이 6.1%, 운동용품 가격이 9.5% 각각 상승했다.
이밖에도 헬스클럽 이용료(3.4%), 놀이시설 이용료(9.3%), 영화관람료(7.4%) 등 스포츠·문화 서비스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