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용산역에서 용산공원으로 이어지는 부지를 지하공간을 포함해 입체적으로 복합개발하는 사업이 15년 만에 다시 추진된다.
서울시는 용산 게이트웨이 조성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기본구상 용역을 입찰공고 했다고 22일 밝혔다. 현재 용산역 앞에는 용산역광장(면적 7600㎡), 용산공원 앞에는 용산프롬나드(1만4104.6㎡)가 있다. 그 사이에 미디어광장(6043.2㎡)과 문화공원(1만7635.3㎡)이 들어선다. 미디어광장은 신분당선과 연계해 조성되며, 문화공원은 올해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지상부 위주의 평면적 공원을 넘어 지하·지상을 모두 활용하는 입체적 공간으로 청사진을 다시 그리기로 했다. 2008년 발표한 '용산링크' 조성계획을 재추진하는 것이다. 당시 용산역과 용산공원을 잇는 지하 3층∼지상 2층의 통합 입체공간을 만들겠다고 발표하고 사업을 추진하다가 글로벌 금융위기와 용산 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 해제로 실현하지 못했다.
서울시는 이곳에 공원부지와 연계한 보행·녹지축을 구축하고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기로 했다. 용산역 전면부는 버스·지하철·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여 시민 활동의 중심공간으로 만든다. 공원부지 지하에는 복합문화 기능을 확충한다.
광화문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국가 상징축'과 용산역∼용산공원을 잇는 '동서 연계축'이 만나는 지점인 한강대로 주변에는 상징성 있는 공간을 조성한다. 인근 개발사업 부지에서 걸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인 지하 연결통로도 설치한다.
서울시는 용산 게이트웨이 조성을 통해 용산공원, 용산국제업무지구 등 핵심 거점을 연계하고 한강대로 등으로 단절된 공간을 잇기로 했다. 이를 통해 용산역 일대를 문화와 대중교통 기능이 융합된 새로운 중심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