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17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 2월호서 언급

정부가 국내 경기가 '둔화' 상태라고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다. 고물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이 부진하고 기업의 투자 심리도 위축되고 있어서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가는 가운데 내수 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부진 및 기업 심리 위축이 지속되는 등 경기 흐름이 둔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경기 둔화' 표현을 사용한 것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만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경기 둔화 우려'란 표현을 처음으로 사용한 데 이어 지난달 '경기 둔화 우려 확대'로 진단하더니 이달에는 '경기 둔화'로 판단했다.
우리나라 경제는 지난해 4분기에 역성장을 기록하고 수출도 부진한 모습이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4% 감소했다. 2020년 2분기(-3.0%) 이후 10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 1월 수출은 1년 전보다 16.6% 줄었다. 수출을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수출 감소로 1월 무역수지는 월간 기준 역대 최대인 126억5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기재부는 "지난 1월 경상수지는 무역적자 확대 등을 감안할 때 전월 대비 악화 가능성이 있다"며 경상수지 적자 가능성을 내비쳤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