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선 부사장 "갤럭시 S23 시리즈에 12개 이상의 재활용 소재 부품 사용"

삼성전자가 2025년까지 모든 갤럭시 신제품에 재활용 소재를 적용하고, 포장에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2050년까지 갤럭시를 포함한 전체 스마트폰에서 100%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목표를 세웠다.
박성선 삼성전자 MX(모바일경험)사업부 기구개발팀장(부사장)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갤럭시S23 시리즈의 친환경 가치와 기술 혁신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박성선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제품 품질을 유지하면서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갤럭시S23은 MX사업부의 친환경 기술과 혁신이 집약된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박 부사장에 따르면 갤럭시S23 시리즈에는 11개(울트라는 12개) 이상의 재활용 소재 부품을 사용했다. 전작(6개)의 재활용 소재 부품 사용량보다 2배 늘어났다.
갤럭시S23에는 플래그십 모델 최초로 외장 부품에도 재활용 소재를 적용했다. 패키지 박스와 전·후면 부착된 플라스틱 필름은 100% 재활용 종이가 사용됐다. 특히 울트라 모델에는 전작에서 사용한 폐어망·폐생수통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플라스틱,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을 재활용한 알루미늄 및 파유리 등도 활용됐다.
폐어망 재활용 소재를 20% 사용해 만든 재활용 플라스틱(PA: Polyamide)은 울트라의 내부 S펜 커버, 하단 스피커 모듈 등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올 한해 15톤의 폐어망을 수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 밖에도 폐생수통과 폐페트병, 알루미늄 부산물을 사용해 만든 재활용 소재는 상·하단 스피커 모듈, 사이드키, 볼륨키, 외장 케이스 프론트, 심(SIM) 카드 트레이 등에 쓰였다.
삼성전자는 2050년까지 모든 갤럭시 기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100% 재활용 소재를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박 부사장은 "2025년까지 갤럭시 모든 제품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목표"라며 "2030년까지 제품에 쓰이는 플라스틱 부품 중 50%, 2050년까지 100% 재활용 플라스틱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처리 과정이 까다로운 재활용 소재를 활용함에 따른 가격 인상 압박에 대해 박 부사장은 "일정 부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해 가격 인상은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는다는 것이 원칙"이라고 밝혔다.
박 부사장은 "모바일 사업부뿐 아니라 생활가전 등 전 분야에서 재활용 소재 사용을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대적으로 무게나 부피가 작은 스마트폰보다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에서 활용도가 커질수록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부사장은 "디바이스 경험(DX) 부문과 개발협의체 등을 통해 교류·협업하고 있다"며 "모바일 사업부에서 개발한 소재 정보를 생활가전 등의 개발자에게 전달해 제품 특성에 맞게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