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솔루션이 내년까지 미국 조지아주에 3조2000억원을 투자해 태양광 통합 생산 단지 '솔라 허브'를 구축해 가동을 시작한다. 솔라 허브는 태양광 생산 단지로는 북미 최대 규모다.
한화솔루션은 11일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어 이 같은 사업 계획을 밝혔다. 한화솔루션은 먼저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총 3조원을 투자해 내년 말 상업 생산을 목표로 각 3.3기가와트(GW) 규모의 잉곳·웨이퍼·셀·모듈 통합 단지를 건설한다.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핵심 밸류체인(가치사슬) 5단계 중 원재료 폴리실리콘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제품을 한 곳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카터스빌은 기존 모듈 공장이 있는 조지아주 달튼에서 자동차로 30여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아울러 2019년 모듈 양산을 시작한 기존 달튼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을 현재 1.7GW에서 올해 말까지 5.1GW로 확대한다. 올해 상반기 중 1.4GW 규모 생산라인 증설을 끝내고, 연말까지 2GW 생산능력을 추가할 계획이다.
내년 말까지 달튼 공장과 카터스빌 공장의 신·증설을 완료하면 현지 모듈 생산능력은 총 8.4GW로 늘어난다. 8.4GW는 실리콘 전지 기반 모듈을 만드는 태양광업체 생산능력으로 북미 최대 규모다. 미국에서 13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한화솔루션은 솔라 허브 생산라인에 지난해 지분을 인수한 친환경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REC실리콘이 만드는 폴리실리콘 투입을 검토 중이다. 미국 워싱턴주에 있는 REC실리콘은 올해 말부터 5.3GW 규모 셀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인 연간 1만6000t 폴리실리콘을 양산할 예정이다.
내년부터 솔라 허브 가동이 본격화하면 한화솔루션은 기초 소재인 폴리실리콘부터 완제품인 모듈까지 5단계 밸류체인 생산 라인을 모두 갖춘다. 단일 기업이 북미 지역에 태양광 핵심 밸류체인별 생산라인을 모두 갖추는 것은 한화솔루션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은 솔라 허브 조성으로 원재료부터 완제품까지 미국 현지에서 생산한 태양광 제품을 판매해 현지 시장 1위 자리를 굳힐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