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전경련 회장 "주력산업의 노후화,잠재 성장률 저하 해결 시급"

6대 경제단체 회장들은 29일 발표한 2023년 신년사에서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위기 극복에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이들 단체장들은 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정부의 적극 지원과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동개혁, 규제개혁을 주문했다.
◇대한상공회의소=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기업 부담을 줄이는 제도적 뒷받침은 정부와 국회의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들과 동등한 수준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제도적 환경을 마련하는 데 적극 나서 달라"고 말했다. 이어 "노동개혁, 규제개혁, 교육개혁과 같은 개혁 과제를 일관성 있게 추진해 한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다시 끌어올리는 자양분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다가오는 위기가 버겁게 느껴질 때도 있지만 미래를 향한 도전은 게을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지금 무엇을 준비하느냐가 다가올 경제 회복기에 실력의 차이를 극명하게 가를 것"이라면서 손자병법에 나오는 '이환위리(以患爲利=고난을 극복해 오히려 기회로 삼는다)'를 인용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저출산·고령화, 주력산업 노후화, 잠재성장률 저하 등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언급한 뒤 "환부작신(換腐作新·썩은 것을 도려내 새것으로 바꾼다는 뜻)의 자세로 전방위적 구조개혁을 추진해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경제 선진국으로 도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허 회장은 이어 "민간의 창의와 혁신이 세계무대에서 꽃 피울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규제개혁을 포함한 기업환경 개선에 적극 힘써주기를 부탁드린다"며 "전경련도 한국경제의 기적을 일궈냈던 기업가정신의 부활과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손경식 경총 회장은 "낡은 노동법과 불합리한 관행이 노동시장 경직성과 노사 간 힘의 불균형을 초래해 대립적 노사관계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노동시장 개혁이 늦어질수록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입지가 약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손 회장은 이어 "노동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며 "근로시간도 양을 기준으로 획일적으로 규제하지 말고, 업무 특성에 맞게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무역협회=구자열 무역협회 회장은 "과거 우리 무역은 숱한 위기마다 세계를 놀라게 하는 저력을 발휘하며 한국 경제의 기적을 이뤄냈다"면서 "무역입국 60년의 자신감과 열정으로 위기 극복을 넘어 한 단계 높은 도약을 이뤄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 회장은 "내년에도 주요국의 고강도 긴축과 중국의 성장 부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우리 무역을 둘러싼 어려움이 곳곳에 예상된다"며 "이런 변화는 큰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지만, 담대한 도전정신으로 한발 앞서 대응한다면 기술과 산업 혁신을 앞당기고 한국 경제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최진식 중견기업회장은 "중견기업 경영 애로를 가중하는 수많은 법과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곧 대한민국 경제의 근본을 강화하는 일"이라며 "중견기업 육성의 법적 토대인 중견기업특별법이 안정적인 주춧돌로 기능할 수 있도록 상시법화는 물론 모든 내용을 실질화하는 전면 개정 작업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가장 시급한 과제는 복합 경제위기 극복과 중소기업 중심 정책 환경 조성"이라며 "본격적인 시행을 앞둔 납품단가 연동제가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위법령 제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중소기업의 현장 의견을 담아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