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4분기 1% 넘어야 … 위드코로나 시행과 유류세인하등에 기대"

코로나19 4차 유행과 글로벌 공급 병목현상 여파로 민간소비와 투자가 뒷걸음치면서 3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3%에 머물렀다. 남은 4분기에 3분기보다 1%포인트 이상 성장하지 않으면 올해 연간 4% 성장률 달성이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3%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한은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민간소비가 감소한데다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의 영향으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이나 건설자재 수급이 차질을 빚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분기별 성장률은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발병한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 역성장을 기록한 뒤 3분기(2.2%), 4분기(1.1%), 올해 1분기(1.7%), 2분기(0.8%), 3분기(0.3%)까지 5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3분기 성장률이 1분기, 2분기와 비교해 크게 낮아졌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서비스(음식숙박, 오락문화 등)를 중심으로 0.3%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운송장비(자동차 등) 위축의 영향으로 2.3% 줄었다. 건설투자도 토목건설 위주로 3.0% 뒷걸음쳤다. 소비와 투자가 동반 부진한 가운데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 등에 힘입어 1.1% 증가했다.
3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의 기여도는 각 -0.1%포인트, -0.4%포인트, -0.2%포인트로 분석됐다. 그만큼 소비와 투자가 3분기 성장률을 끌어내린 것이다. 이와 달리 순수출과 정부 지출은 성장률을 각 0.8%포인트, 0.2%포인트 높였다.
업종별 성장률은 ▲농림어업 8.8% ▲제조업 0.2% ▲전기가스수도업 0.8% ▲서비스업 0.4% ▲건설업 -1.7% 등이었다. 특히 서비스업 가운데 운수업은 2.2% 감소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이 4%에 이르려면 4분기 성장률(전기대비)이 1.04%를 웃돌아야 한다"며 낙관적 견해를 밝혔다. 최근 말레이시아 차량용 반도체 공장 재가동 등 글로벌 공급망 병목 현상이 시차를 두고 해소될 전망이고, 11월부터 코로나 방역체제가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으로 전환되면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소비가 늘어나고, 유류세 인하 조치와 2차 추경(추가경정예산)이 소비 진작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