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등에 공급한 명절 화폐량으로는 6년 만에 최저치
카드결제 많아 진데다 재난 지원금 상품권 지급영향도
카드결제 많아 진데다 재난 지원금 상품권 지급영향도

명절을 앞두고 은행에서 현금을 찾아가는 모습이 점차 줄고 있다. 신용카드 등 결제수단이 많아진데다 코로나19 사태로 가족 모임이 줄고 재난지원금이 카드와 상품권 위주로 지급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17일 '2021년 추석 전 화폐공급 실적' 자료를 통해 올 추석 전 10일(9월 6~17일) 동안 금융기관에 공급한 화폐 순발행액(발행액-환수액)은 4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추석보다 2000억원(-4.8%) 감소했다고 밝혔다. 추석 이전 10일간 화폐 순발행액 4조8000억원은 2015년 추석(4조7000억원) 이후 6년 사이 가장 적은 규모다.
한은은 명절 수요에 대비해 화폐 공급량을 조절한다. 명절 화폐 순발행액은 2017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다. 2017년 추석 때 7조원이었던 화폐 순발행액은 2018년 5조4518억원으로 줄었다. 2019년에는 5조406억원으로 5조원에 턱걸이했는데, 당시 추석 연휴가 4일로 예년(통상 5일)보다 짧았다. 지난해 추석 때 5조678억원으로 늘어났다가 올해 4조원대로 줄었다.
한은은 "과거 명절에는 사람들이 주로 은행에서 현금을 찾았는데, 현금 외 다양한 결제수단이 많아지면서 2017년부터 명절 화폐 발행액이 추세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올 추석에는 5차 재난지원금이 주로 신용카드나 상품권 등 형태로 전달되면서 화폐 순발행액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