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손해보험의 선량한 고객들을 보호할 수 있는 보험사기 예방 시스템 강화
보험 사기행위를 인공지능으로 걸러내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KB손해보험(대표이사 사장 양종희)은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보험사기 예방을 위해 AI 기반 외부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SMA(Social Media Analytics) 시스템'을 운영키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KB손해보험이 이 시스템을 개발한 것은 특히 최근 실손보험 제도를 악용하려는 일부 병원 중심의 보험사기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보험업계의 보험사기 분석 시스템은 과거 보험사기 혐의자 중심의 내부 데이터와 보험금 청구 누적정보 분석에만 의존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사전 모의 행위를 포착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KB손해보험에서 이번에 개발한 'SMA 시스템'은 포털, 블로그, 뉴스,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디지털 환경의 데이터와 병원, 질병명, 치료법 등의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험사기 의심 문서 탐지 프로세스를 통해 위험도를 포인트화해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보험사기 최신 트랜드 및 패턴을 예측하고, 이상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그 결과를 제공한다.
, 또 실손보험 제도를 악용하려는 일부 병원 및 보험사기 가담자들에 대한 보험사기 이상 징후 파악이 용이해져 더욱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험사기 예방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KB손해보험은 SIU부 이강식 부장은 " 디지털 환경에서 보험사기 수법이 날로 고도화 되고 있는 점에 착안해 이 시스템을 개발했다"며 "앞으로 KB손해보험의 선량한 고객들을 보호할 수 있는 보험사기 예방체계를 더욱 조밀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