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물 WTI 20달러선… '글로벌 기준가' 브렌트油는 25달러선

미국산 유가가 폭락하면서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하락 압력이 지속하는 가운데 원유시장의 선물 만기가 겹치면서 기록적인 하락으로 이어졌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37.63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17일 종가 18.27달러와 비교해 55.90달러 떨어진 것이다.
국제유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생산업체가 돈을 얹어주며 원유를 팔아야 하는 것으로 수요가 실종됐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사태로 원유 수요가 급감하고 공급이 넘치는 상황에서 원유시장의 '선물 만기 이벤트'가 겹친 결과다.
5월물 WTI 만기일(21일)을 앞두고 선물 투자자들은 5월물 원유를 실제로 인수하기보다 대부분 6월물로 갈아타는 '롤오버'를 선택했다. 재고가 넘치고 원유저장 시설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일제히 5월물을 팔고 6월물을 사들이면서 비정상적으로 가격이 왜곡됐다는 분석이다.
경제전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정유시설, 저장시설, 파이프라인, 심지어 바다 위의 유조선도 원유로 가득 차 있다"고 보도했다.
만기가 임박하면서 5월물의 거래량이 줄어든 것도 유가의 변동성을 키웠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5월물 거래가 12만6천건에 불과한 가운데 6월물 거래는 80만건에 육박했다. 기본적으로 코로나19 사태의 충격파가 크긴 해도 5월물 WTI의 움직임은 실제 시장 흐름과 다소 거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글로벌 국제유가의 표준(글로벌 벤치마크)으로 통하는 영국산 브렌트유는 20일 배럴당 25달러 선에 거래됐다. 21일부터 본격 거래되는 6월물 WTI도 21달러 선이다. 외견상으로만 보면 결제월이 바뀌면서 하루 새 마이너스권에서 20달러 선으로 급등하는 모양새다.
또한 10월물 WTI는 31달러 선이다. 결제월이 늦어질수록 높은 가격이 형성되는 '콘탱고' 현상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서 올해 가을쯤 원유 수요가 어느 정도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가 깔려 있다.
유가 폭락은 뉴욕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592.05포인트(2.44%) 하락한 23,650.4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1.40포인트(1.79%) 내린 2,823.1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89.41포인트(1.03%) 하락한 8,560.73에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