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경기 흐름에 대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으로 국내 소비는 증가했지만, 건설 경기 부진과 수출 둔화 우려는 여전한 것으로 정부가 판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책 효과 등으로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향후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7월 21일부터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비롯해 1·2차 추경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올해 1월부터 '하방 압력 증가'로 경기를 진단했다가 6월에는 '증가'를 뺐다. 7월부터 '소비 심리 개선 등 긍정적 신호'라는 문구를 담았다. 8월에는 소비 심리 개선이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는 등 조금 더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기재부가 공개한 속보성 지표에 따르면 7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지난해 7월보다 6.3% 증가했다. 올해 2월(6.8%)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1년 전보다 36.2% 늘었다. 올해 1월(39.7%) 이후 6개월 만에 30%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소비심리도 회복세를 이어갔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8로 6월보다 2.1포인트 오르며 넉 달 연속 상승했다. 6월 소매판매도 내구재(-1.6%)에서 줄었지만 준내구재(4.1%), 비내구재(0.3%)에서 늘어 5월보다 0.5%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