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개방 앞두고 내달말 15일동안 주거 구조등 체험기회

서울 용산 미군기지 내 장교숙소(외인아파트)가 4월말 일반에 개방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국토부는 4월 28∼29일 용산기지 외인아파트 개방을 알리는 공개행사를 한 뒤 15일 동안 일반 시민에게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식 개방은 올 7월로 예정돼 있는데 개방된 외인아파트를 어떻게 운영할지 국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임시 개방을 준비하고 있다. 이는 과거 116년 동안 외국 군대 주둔지로 쓰인 용산기지가 우리나라 국민에게 문을 여는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이곳은 일제가 1904년 러일전쟁 당시 조선주차군사령부(朝鮮駐箚軍司令部) 주둔지로 사용한 이후 일본군에 이어 미군이 주둔하면서 우리 국민의 출입이 금지됐다. 국토부는 지난해부터 용산기지 버스투어를 운영했다. 하지만 이는 한정된 인원이 버스를 타고 정해진 경로만 짧은 시간 둘러보고 나오는데 그쳤다.
외인아파트 개방은 미군기지로 쓰인 일부 부지에 별도 출입구를 만들어 우리 국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로록 한다는 점에서 버스투어와 다르다.
외인아파트는 1986년 미군에게서 돌려받았지만 그동안 미군이 임차해 사용해왔다. 기지 내 외인아파트는 4, 5, 7단지가 있는데 기지 동남 측 담장과 닿아 있는 5단지가 개방된다.
국토부는 현재 5단지 내로 들어갈 수 있는 출입구와 담장 조성 공사를 진행 중이다. 외인아파트 내부에 체험객들이 용산공원의 역사를 되짚어볼 수 있는 전시물을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당초 국토부는 이 외인아파트 시설을 활용해 단기 체류형 숙박시설 등을 운영하는 방안을 추잔했다. 그러나 현재 용산기지는 용도상 자연녹지로 돼 있어 우리 국민이 숙박업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장기 과제로 검토하기로 했다. 미군이 이곳을 장교숙소로 사용한 것도 우리 법과 상관없이 임의로 써온 셈이다.
그러나 국토부가 4월 말 예정된 행사를 할 수 있을지는 코로나19 사태가 변수다. LH는 코로나19 방역 방안도 함께 마련한다지만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개방 일시가 연기될 가능성도 있다.
국토부는 29일 행사에서 일반시민 400명이 참석하는 국민토론회를 열어 용산공원 운영과 관련한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도 마련해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