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10:00 (수)
김범수 "글로벌 기업의 압도적 규모에 공포"
김범수 "글로벌 기업의 압도적 규모에 공포"
  • 이코노텔링 곽용석기자
  • felix3329@naver.com
  • 승인 2020.03.18 2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톡 10주년 메시지 " 또 다른 파고 넘어 앞으로 10년은 우리 길로"
"사람·시스템 아닌 문화가 일해… 사회문제 관심갖고 해결책 모색"
사진(카카오 김범수 의장)=카카오티비 동영상 캡쳐.
사진(카카오 김범수 의장)=카카오티비 동영상 캡쳐.

카카오를 창업한 김범수 이사회 의장은 18일 카카오톡 출시 10주년을 맞아 "모바일 생활 플랫폼을 넘어 또 다른 변화의 파고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범수 의장은 이날 오전 카카오 전 직원에 보낸 카톡 및 동영상 메시지에서 "지난 10년은 카카오의 시즌1이라고 생각하며, 우리는 이제 시즌2를 위한 다음 10년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장은 "글로벌 선도 업체들을 보면 우리를 압도하는 정도의 규모라서 엄청난 공포감이 느껴지기도 한다"며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는 또 다른 10년 앞에서 우리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사람이나 시스템이 일하는 게 아니고 '문화가 일을 한다'라는 말을 굉장히 믿는다"며 "커진 규모에서의 기업문화라는 게 또 어떻게 변하고 진화해야 할지도 시즌2의 중요한 고민거리"라고 말했다.

이어 "밀레니얼 세대가 행동하는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리더들이 뭔가 전개한다는 게 이제 좀 어긋나기 시작한다"라며 "본질은 그걸 제일 잘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이 의사결정을 하는 구조가 점점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대한민국을 모바일을 통해서 많이 편리하게 만들고 불편한 점을 해소한 것까지는 좋지만,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보더라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아직은 많이 미흡한 점이 새삼스럽게 느껴지는 시기"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이 선한 의지를 갖는다면 확실히 더 나은 세상이 되는 데에 더 근접할 수 있다"며 "조금 더 사회 문제에 관심을 많이 갖고 더 적극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어떤 방법을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고 제안했다.

김 의장은 카톡 개발 당시를 떠올리며 "4명이 거의 밤새워서 만들고 18일 앱스토어에 올리고, 다 같이 지켜보고 반응을 봤다"며 "한 달 만에 결과가 나와서 인생에서 또다시 누려보기 쉽지 않은 그런 기쁨을 누렸던 그런 기억이 난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가장 기분 좋았을 때가 카카오를 쓰면서 참 '세상 참 좋아졌네'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라고 자신의 심경을 전했다.

김 의장은 현재 자신의 역할에 대해 "지금은 약간 미래의 이니셔티브(주도권)를 찾는, 미래의 성장동력을 찾는 쪽의 역할을 주로 하고 있다"며 "계속 호기심이 많고 그걸 상상하고 그 상상의 뭔가를 이루려고 하는 사람, 꿈을 꾸는 사람, 이런 게 제일 듣고 싶은 포인트"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29번지 (서울빌딩)
  • 대표전화 : 02-501-63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재열
  • 발행처 법인명 : 한국社史전략연구소
  • 제호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 등록번호 : 서울 아 05334
  • 등록일 : 2018-07-31
  • 발행·편집인 : 김승희
  • 발행일 : 2018-10-15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이코노텔링(econotelling).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unheelife2@naver.com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재열 02-501-6388 kpb11@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