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3분기에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12조원대 영업이익으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14일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2분기(4조6800억원) 대비 158.55% 급증하며 2022년 2분기(14조1000억원) 이후 3년여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10조원대를 회복한 것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5분기 만이다.
매출은 지난해 3분기 대비 8.72% 늘어난 86조원이다. 2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분기 매출이 80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실적은 증권가 전망치(매출 84조1000억원대, 영업이익 10조3000억원대)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날 부문별 실적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업계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6조원대 영업이익으로 2분기(4000억원) 대비 15배 넘는 실적을 낸 것으로 보고 있다. D램 가격 상승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출하량 증가, 비메모리 사업의 적자 축소 등 호재가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사업부도 폴더블 스마트폰 신제품 판매 증가에 힘입어 3조원대 영업이익으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간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의 실적 호조는 메모리 슈퍼 사이클이 도래한 3분기를 기점으로 반도체를 중심으로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산업이 확산하며 서버용 고부가가치 메모리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HBM도 본격적으로 공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700조원 규모로 추진되는 미국 오픈AI의 초거대 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고성능·저전력 메모리반도체를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협력 관계인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맺음에 따라 HBM 공급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엔비디아와는 5세대 HBM3E 공급이 조만간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6세대 HBM4 공급을 위한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글로벌 HBM 시장 점유율 17%로 3위를 기록했다. 내년에는 HBM4 양산을 기반으로 약 30%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