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소버린(Sovereign·주권형) 인공지능(AI)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최태원 회장은 18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SK그룹 지식경영 플랫폼 '이천 포럼 2025' 오전 세션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정책과 중국의 대응, 소버린 AI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소버린 AI도 국내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전쟁"이라며 "세계 시장에서 이길 수 있는 소버린 AI를 우리가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소버린 AI란 자국의 데이터·인프라를 활용해 독립적으로 AI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AI 주권 확보 및 안보 차원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올해 9회째인 이천 포럼은 6월 경영전략회의(옛 확대경영회의), 10월 CEO 세미나와 함께 SK그룹의 핵심 CEO 브레인스토밍이다. 2017년 최 회장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할 혁신 플랫폼의 필요성을 제안해 시작됐다. 이천 포럼 2025는 'AI와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18~20일 사흘간 열린다.
개회사는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맡았다. 곽노정 사장은 SK그룹의 미래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안목이 고대역폭메모리(HBM)로 대표되는 AI 메모리 시장에서의 성공 신화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곽 사장은 "아사 직전까지 갔던 회사(하이닉스)가 SK를 만나면서 세계 최초 HBM(고대역폭메모리) 개발, 글로벌 D램 시장 1위, 시가총액 200조원 달성 등 도약을 이뤄냈다"며 "SK의 원팀 정신과 과감한 투자,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이 없었다면 HBM 신화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시대의 변화는 이제 시작이며 엄청난 크기의 변화에 두려움을 느낀다"며 "문 닫을 위기를 겪어내면서도 HBM을 만든 SK하이닉스는 결국 어려움을 헤쳐 나가고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