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생산은 증가한 반면 소비와 투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내외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관망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3월 전(全)산업 생산지수는 114.7(2020년 100 기준)로 2월보다 0.9%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은 1월 1.6% 감소했다가 2월 1.0% 증가한 데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3.2%)을 중심으로 늘어 2월보다 2.9% 증가했다. 특히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
의약품(11.8%)과 전자부품(7.8%) 생산도 늘어난 반면 기계장비(-3.1%), 석유정제(-9.3%) 등의 생산은 줄었다.
건설업 생산은 토목과 건축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2.7% 감소했다. 2월에 2.4% 늘면서 7개월 만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2월보다 0.3% 감소했다. 도소매업 생산이 3월에 3.5% 줄면서 감소세로 전환했다. 금융·보험(-2.1%), 정보통신(-2.1%) 등의 업종에서도 생산이 줄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지수도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어난 반면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판매가 줄었다.
설비투자도 0.9%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 등에서 투자가 늘어난 반면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선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8.8로 2월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2월 0.1p 상승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다. 향후 경기 상황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100.6으로 0.2p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