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고교생의 경제이해력 점수가 50점대 초반으로 2년 전 조사 때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19일 발표한 '2024년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조사결과'에 따르면 경제이해력 평균 점수는 초등학교 6학년 61.5점, 중학교 3학년 51.9점, 고등학교 2학년 51.7점이었다.
직전 조사인 2022년과 비교해 초·중·고교생 모두 점수가 하락했다. 초등학생은 3.9점, 중학생은 6.3점, 고등학생은 5.0점 떨어졌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에서 초등학교 6학년 5192명, 중학교 3학년 5157명, 고등학교 2학년 5105명과 초·중·고 교사 75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10월 실시했다.
기재부는 설문조사 도구에 따른 응답 성실도 차이와 학업성취도 저하로 점수가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2022년에는 종이 설문이었는데 지난해엔 태블릿이 부분 도입됐다.
기재부는 "초등학생은 60점을 조금 웃돌았으나 중·고등학생은 60점에 현저히 미달해 학생들의 경제이해력 제고를 위한 경제교육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서울·대구·세종 등 특별시와 광역시의 평균 점수가 광역도보다 대체로 높았다. 문항별로는 합리적 선택, 전자상거래, 투자 등 실생활 관련 문항의 정답률은 높은 반면 물가나 수요·공급, 기회비용 등 경제 기본개념·원리 관련 정답률은 낮았다.
중학생의 정답률은 합리적 선택(69.5%)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전자상거래(68.7%), 투자(67.3%), 지불수단(66.2%) 순서였다. 물가, 수요·공급은 40%대였고 기회비용과 가격, 수요량은 30%대였다.
경제교육 실태조사에서 초·중학생은 주로 학교 수업을 통해 경제지식을 취득하고, 고등학생은 주로 TV·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교생 모두 강의식 교육보다 체험활동, 현장 견학 등 체험형 교육을 선호했다. 교육 주제로는 경제 기본원리와 금융상품 수요가 높았다.
교사들이 경제 수업 진행 시 어려움을 느낀 비율이 60∼70%였다. 주된 원인으로 자료 수집과 교수법의 어려움, 경제 이해도 부족 등을 꼽았다. 교사들의 경제 관련 직무연수 경험은 매우 낮게 조사됐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학생들의 경제 이해력을 높이고 교육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초등학생에게는 늘봄학교를 통해 올해 1만명을 목표로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중등 자유학기제 경제활동과 고등학교 신규 경제 과목도 확대·개설할 계획이다.
교사 양성, 경제교육 플랫폼 강화 등 경제교육 기반도 강화하기로 했다. 기재부는 원격 연수 프로그램을 새로 개발하고, 우수 수업 사례 대면 연수 제공을 통해 교사들의 직무연수 기회를 늘리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