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주택 매매가 늘면서 거주지를 옮긴 국내 인구가 약 628만명으로 4년 만에 증가했다. 서울의 경우 1990년부터 35년째 전입보다 전출이 더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4년 국내인구 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는 628만3000명으로 2023년보다 15만5000명(2.5%) 증가했다. 인구 이동자 수는 2020년 63만1000명(8.9%) 늘어난 뒤 3년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주택 매매가 늘면서 반등했다.
국내 인구 이동자 수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중장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단기적으로는 주택 거래량과 입주 예정 아파트 물량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지난해 12.3%로 2023년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시도 내 이동은 65.4%, 시도간 이동이 34.6%였다.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9%)와 30대(12.0%)에서 높고 60대 이상에서 낮은 경향(7%대 이하)을 보였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이 15.7%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전(13.7%), 인천(13.3%) 의 순서였다. 전출률은 세종(15.0%), 대전(13.8%), 서울(13.6%)의 순서로 높았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은 '순유입' 시도는 경기(6만4000명), 인천(2만6000명), 충남(1만5000명) 등 5개 시도였다. 반대로 전출이 전입보다 더 많은 '순유출' 시도는 서울(-4만5000명), 부산(-1만4000명), 경남(-9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집값 등 주거 및 생활 비용이 비싼 서울은 1990년부터 35년째 인구가 순유출됐다. 30대(-1.8%), 40∼50대(-1.0%), 60세 이상(-1.1%) 연령대에서 서울 순유출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와 달리 20대는 서울 순유입률(2.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 용산구의 순이동률은 –4.3%로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순유출 1위였다. 통계청은 "용산구 내 재건축·재개발 영향으로 전출 인구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입자의 53.0%는 경기도에서 이동했고, 서울 전출자의 61.3%는 경기도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인구 이동 사유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의 순서였다. 2023년과 비교하면 주택·가족을 이유로 한 주거지 이동이 늘어난 가운데 직업 사유 이동은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