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LG전자 인도법인의 기업공개(IPO)에 대해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하는 것이며, 인도에서 사랑받는 국민 브랜드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LG전자에 따르면 조주완 CEO는 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금도 인도에서 냉장고, 세탁기, TV 등 모든 제품이 1등을 하고 있지만 여기서 끝을 내고 싶진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인도법인 상장예비심사청구서(DRHP)를 제출하고 상장을 공식화했다. 업계는 통상 DRHP 심사에 3개월 정도 걸리는 점을 감안해 LG전자의 인도증시 상장이 오는 4∼5월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조주완 CEO는 "인도의 우수 인재를 확보하고 싶고, 앞으로 많은 공장도 지을 것"이라며 "현지완결형 사업을 하고 확대하는 꿈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에서 더 큰 잠재력을 현실화시킬 것"이라며 "상장이 되면 큰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조 CEO는 중국 업체와의 경쟁 패러다임이 가격에서 기술 경쟁으로 고도화되는 데 대해 "그동안 중국의 위협에 대해 인식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부터는 실제 대응을 위한 실행 단계로 옮겨야 할 때"라며 제품 리더십 우위 유지, 비용 캐치업, 사업 모델·방식 차별화 등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LG전자는 지난해 2조원에 육박한 구독사업 매출을 오는 2030년까지 지난해의 3배 이상으로 키우고, 웹(web)OS 등 플랫폼 기반 사업 매출을 현재(1조원)의 5배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구독과 웹OS 사업으로 2030년 10조원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조주완 CEO는 LG전자의 장점으로는 4000∼5000명의 케어 매니저를 꼽은 뒤 "구독 사업의 핵심은 할부가 아니라 케어"라며 "케어 매니저의 역량, 네트워크, 오래된 경험이 우리의 강점"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