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두 번째로 개통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노선인 경기도 파주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28일 오전 5시 30분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27일 GTX-A 파주시 동패동 운정중앙역 잔디광장에서 이 구간 개통식을 했다. 지난 3월 수서∼동탄 구간에 이어 올해 두 번째 GTX 개통이다.
해당 구간은 운정중앙역, 킨텍스역(고양시 일산서구), 대곡역(고양시 덕양구), 연신내역(서울 은평구), 서울역(서울 용산구) 등 5개 역사를 거친다. 내년 초 대곡역과 연신내역 사이 창릉역(고양시 덕양구)도 착공해 오는 2030년 개통할 예정이다.
운정중앙역에서 서울역까지 최소 21분 30초가 걸린다. 경의중앙선이 46분, 광역버스로 66분이 걸리던 것에 비해 크게 단축된다.
배차 간격은 개통 초기 운행 안정화를 위해 7개 편성의 열차를 투입해 약 10분 간격으로 하루 편도 112회, 왕복 224회 운행한다. 요금은 기본요금 3200원에 거리 요금 250원(이동거리 10㎞ 초과 시 5㎞마다)이 붙는다. 이에 따라 최대 거리인 운정중앙역에서 서울역까지는 4450원이 부과된다. 수서∼동탄 구간 최대 요금과 같다.
이 요금에는 K패스와 수도권 통합환승, 주말 할인 등이 적용된다. K패스의 일반인 할인율(20%)을 적용하면 운정중앙∼서울역 요금은 3560원이 된다.
운정중앙역에는 지하 1층에 복합환승센터 버스정류장이 있어 버스를 타고 온 이용객들이 역사 대합실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킨텍스역에는 인근 지하철 3호선 대화·주엽역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을 역 앞 버스정류장에 정차토록 하는 등 총 18개 버스 노선이 경유하도록 했다.
3호선과 연결되는 대곡역에는 고가도로상 중앙차로 정거장에 대화동에서 출발하는 직행 좌석버스 1개 노선을 신설하는 등 총 17개 버스노선이 경유하도록 했다.
연신내역에서는 3·6호선과 전용 환승 통로로 빠르게 환승할 수 있다. 서울역에서는 1·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및 KTX 및 일반철도로 환승할 수 있다.
국토부는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의 내년 승객 수요를 평일 기준 하루 5만37명으로 일 것으로 예상했다. 수서∼동탄 구간 평일 예상치(2만1523명)의 2.3배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