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가구가 소유한 집값의 격차가 최대 40배를 웃돌고, 비싼 집을 보유한 가구는 여러 채 갖고 있는 등 자산 불평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8일 내놓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를 보면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2100만원으로 2022년(3억1500만원)보다 600만원 상승했다.
통계청은 건축물대장, 주택공시 가격, 재산세 자료 등 주택 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분석했다.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5채, 평균 면적은 86.6㎡였다.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3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5명이었다.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가액은 12억5500만원으로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3100만원)의 40.5배 수준이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12억1600만원)보다 3900만원, 하위 10%는 전년(3000만원)보다 100만원 증가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7채로 하위 10%(0.98채)의 2.4배였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많은 것으로 우리 사회의 자산 양극화를 보여준다.
2022년 11월 1일 기준 소유한 주택이 없었는데 1년 뒤 소유자가 된 사람은 71만9000명이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주택 소유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경우는 30만6000명이었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02만6000명이었고, 그 대다수인 98만1000명이 집을 1채 더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 건수가 감소한 경우는 55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총 1675만9000채로 전년(1644만8000채)보다 31만2000채 늘었다.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주택 소유율은 56.4%였다. 주택 소유율은 1인가구(31.3%), 비친족가구(42.3%), 한부모·미혼자녀 가구(53.9%) 등에서 평균보다 낮았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674만2000채로 전년(1643만3000채)보다 31만1000채 늘었다. 주택 소유자는 전년(1530만9000명)보다 30만9000명 늘어난 1561만8천명이었다. 1인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07채로 전년과 같았다.
주택 1채만 소유한 사람이 1327만9000명(85.0%)으로 대다수였다. 집을 2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33만9000명(15.0%)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