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 서울을 나타내는 말 중 하나인 '천만 서울'은 곧 틀린 표현이 된다. 젊은 층이 몰려 활기를 더하던 서울도 저출산 고령화 물결에 휩쓸렸다.
서울시는 2018년 말 서울시 전체 인구가 1004만9607명으로 조사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서울시에 등록된 내국인 976만5623명과 외국인 28만3984명을 합한 것이다.
서울에 거주하는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줄곧 감소했다. 이와 달리 외국인은 1995년 4만5천명에서 지난해 28만4천명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시는 최근 3년간 전출자에서 전입자를 뺀 순전출 인구가 평균 8만명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에 서울시 등록인구가 1천만명 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예측했다.
서울 인구 감소의 최대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이다.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도로 빠져나간 인구가 36만8536명, 경기도에서 서울로 온 인구가 23만3320명으로 순전출 인구가 13만5216명이었다. 서울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로 2만5321명이었다.
시가 시민 1천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꾸준한 인구 감소에 대해 서울시민 39.6%는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답했다. 37.9%는 '부정적', 22.5%는 '긍정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인구 감소로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과 주거(43.1%),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60.9%)와 복지(59.4%) 등을 꼽았다.
지난해 서울시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은 141만297명으로 14.4%를 차지해 서울도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65세 이상 서울 인구는 135만9901명으로 전체의 13.8%였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서울은 2005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26년께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65세 이상 인구가 늘고 14세 이하 인구는 줄어들면서 생산 가능 연령층인 15∼64세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 부양비는 1998∼2013년 31%대를 유지하다가 점차 올라 2018년 34.1%를 기록했다.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의 자연증가는 1992년 14만5천여명에서 지난해 1만3천여명으로 급격히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