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목표 관리치(2%) 못미쳐…부양책 재정지출 약효없어
물가는 떨어지는 것이 일단 좋지만 너무 하락하면 디플레이션의 위험에 빠진다. 기업에 재고가 쌓이고 그러면 일자리도 줄어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경기 상황이 어려워졌다는 징후로도 여긴다. 그런데 지난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4년 만에 주요 7개국(G7) 평균보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작년 한국의 연평균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은 1.5%로 G7 평균치인 2.1%보다 0.6%포인트 낮았다.저성장 상태에 진입해 물가가 안정된 G7 국가 평균치보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낮았던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다.
G7 국가 중에선 일본(1.0%)과 이탈리아(1.1%) 2개국만 물가상승률이 한국보다 낮았다. 미국(2.4%), 영국(2.3%), 캐나다(2.3%), 독일(1.9%), 프랑스(1.9%)는 모두 한국보다 높았다. 지난해 OECD 회원국의 평균 물가상승률도 2.6%로 한국보다 높았다.
한국은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 연속 물가상승률이 2%를 밑돌고 있다. 한국은행의 물가 관리목표치(2%)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이처럼 낮은 것은 그동안 한국은행과 정부가 추진해온 기준금리 인하와 재정지출 확대 등의 부양책이 경기 활력 증대로 이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올해도 물가상승률은 낮은 수준에 머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내놓은 경제전망에서 올해 물가상승률을 1.4%로 예상했다. 작년보다 0.1%포인트 낮고 작년 10월에 전망했던 올해 전망치보다도 0.3%포인트 떨어진 수준이다. LG경제연구원도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4%로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