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유휴 국제회의 시설엔 통역 등 관련 서비스업을 한 곳에 모은 육성센터 세워
문화체육관광부가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팔을 걷었다. 이를 위해 31일 발표한 '제4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2019∼2023)'에서 국제회의 기획업체를 지원하는 등 30개의 과제 목표를 제시했다. 그동안 국제회의 산업을 더 공격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으나 이번 처럼 구체적인 지원책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문체부는 국제회의 산업을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크고 양질의 일자리 만들기에도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으로 꼽고 있다.

이에 따라 문체부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국제회의 시설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장비임대업, 통역업 등 관련 서비스업이 입주할 수 있는 육성센터를 세우고, 입주기업에 관련 교육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교육 프로그램을 개편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이들을 일자리와 연결하는 사업도 확대하기로 했다. 문체부는 이와 함께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회의 중 세계적인 국제회의로 성장할 가능성이 큰 회의를 가칭 'K-컨벤션(Convention)'으로 지정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한국을 대표할 만한 명소를 '코리아 유니크 베뉴(KOREA Unique Venue)'로 지정해 컨벤션산업 육성과 연결하기로 했다. 국제회의 시설을 중심으로 호텔, 쇼핑몰 등이 모인 '국제회의복합지구'를 추가로 지정키로 했다. 관련 법령도 정비해 가이드라인을 현실에 맞출 방침이다.
한편 문체부는 국제회의 참가자 1인당 지출액은 2017년 2천941달러로, 일반 방한 외래관광객 1천481달러의 두 배 수준인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