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은행 대출의 원리금 연체율이 0.5%대로 오르면서 4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 등 '그림자 금융(비은행 금융)'의 대출 연체율이 7%대로 급상승하는 등 금융 부실화 우려가 커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1%로 1월말(0.45%) 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9년 5월(0.5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이었다. 신규 연체율(신규 연체 발생액/전월 말 대출잔액)은 0.13%로 1월과 같았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1월말(0.38%)보다 0.04%포인트 오른 0.42%였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7%로 0.02%포인트 상승했고,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4%로 0.10%포인트 급등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가계대출보다 더 높아 1월말(0.50%)보다 0.09%포인트 오른 0.59%였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0.18%)과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0.70%)이 각각 0.06%포인트, 0.10%포인트 올랐다.
은행권은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지만, 은행들 자체적으로 통제 가능한 선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 등 '그림자 금융'의 연체율은 위험 수위를 다다른 모습이다. 고금리 상황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5.07%였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1조원대의 새마을금고 부실채권을 사들여 연체율을 낮춰준 결과다.
그러나 올해 1월 기준 6%대로 오른 데 이어 2월에는 7%대로 더 상승했다. 이에 캠코는 추가로 2000억원대 부실채권을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저축은행의 연체 상황도 심각하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6.55%로 2022년 대비 3.14%포인트 올라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12년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수신 이탈 등으로 영업 환경이 악화돼 7000억원대 영업손실을 보기도 했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연체율도 지난해 말보다 상승해 7%대에 이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은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상황이 심각한 10개 저축은행을 특별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