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와 카카오모빌리티가 손잡고 대형 오피스, 호텔, 아파트, 병원 등을 대상으로 로봇 배송에 나선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에 LG전자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배송 로봇 '클로이 서브봇'을 공급해 배송 서비스를 시작한다.
LG전자와 카카오모빌리티는 오는 25일 서울 성수동 누디트 서울숲에서 로봇 배송 서비스를 선보이고, 기업간거래(B2B) 분야 사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LG전자가 AI 클로이 로봇과 배송 현황·로봇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제 설루션을 제공하고,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를 자체 로봇 배송 서비스와 연동해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고객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건물 내 상점에서 커피, 음식 등을 주문하면 직원이 이를 로봇의 서랍에 넣어 보내고, 로봇은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해 탑승하거나 자동문을 통과하며 한 번에 최대 4곳까지 물건을 배송한다.
양사는 2022년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AI 로봇 배송 서비스 사업화를 위한 기술 협업을 해왔다. 이를 기반으로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체 로봇 오픈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플랫폼 '브링온'(BRING-ON)과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을 출시했다.
브링온에는 카카오모빌리티의 AI를 활용한 최적 배차와 수요 예측 등 모빌리티 기술이 집약됐다. 복잡한 배송 주문을 플랫폼상에서 분류하고, 각 로봇에 최적으로 배차해 관리자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배송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LG전자가 공급하는 양문형 LG 클로이 서브봇은 4칸의 양문형 서랍에 최대 30㎏까지 물건을 실을 수 있다. 보통 크기(350mL) 커피를 최대 32잔까지 탑재할 수 있는 공간 내부에는 위생을 고려해 항균 처리된 소재와 탈취용 환기팬을 적용했다.
6개 바퀴에는 독립 서스펜션(충격 흡수 장치)을 적용해 건물 내 공간을 안정적으로 주행한다. 보안·잠금 장치도 있다. 전면에 10.1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이동형 광고판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