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 여파로 지난해 가구의 소득보다 소비가 더 크게 늘고, 직장인 10명 가운데 7명은 점심값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가 있는 가구의 평균 빚 규모는 약 7% 줄었지만, 월 이자 부담은 늘어났다.
신한은행이 20∼64세 경제활동인구(근로자·자영업자 등)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17일 내놓은 '2023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44만원으로 2022년(521만원)보다 4.4%(23만원) 늘었는데, 가구당 월평균 소비는 261만원에서 276만원으로 5.7%(15만원) 증가했다.
가구 소득에서 나간 지출 항목별 비중은 ▲소비 50.7%(276만원) ▲부채 상환 9.9%(54만원) ▲저축·투자 19.3%(105만원) ▲예비자금 20.1%(109만원)로 조사됐다.
소비 중에서는 식비(23.2%)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교육비(10.1%),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5.1%) 순서로 비중이 컸다.
경제활동인구 중 직장인 5000명에게 따로 지난해보다 올해 소비가 더 늘었냐고 묻자 38.7%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 중 96.1%는 소비 증가가 물가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직장인의 68.6%는 올해 도시락을 싸거나 약속이 없는 날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점심값을 줄이려고 노력한 적이 있었다. 이들 점심값 절약 그룹의 68.3%는 여전히 현재 평균 점심값(6000원)이 비싸다고 인식했고, 22.6%는 5000원까지 더 줄이겠다고 답했다.
고물가로 살림이 팍팍해지자 직장인 5000명 가운데 16.9%는 둘 이상 직업을 가진 'N잡러'였다. 부업하는 이유의 61.9%는 생활비와 노후 대비 등 경제적 이유였다. 본업 외 부업의 종류는 20대와 40대의 경우 서비스직(식당·카페·편의점 등)이 가장 흔하고 30대와 50·60대에서는 각각 크리에이터·블로그·유튜버 직종, 과외·강사가 많았다.
조사대상 1만 가구의 지난해 평균 보유 자산은 6억294만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대비 4.8%(2788만원) 늘어 6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소득계층별 자산 증가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소득 5구간(상위 20%) 고소득 계층의 자산은 평균 11억6699만원으로 1년 사이 4564만원 늘어난 반면 1구간(하위 20%·1억6130만원)과 2구간(하위 20∼40%·3억3391만원)의 자산 증가 폭은 각각 1291만원, 1582만원에 머물렀다.
조사 대상 가구의 64.8%가 부채를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가구의 부채 보유 비율은 2022년(66.8%) 대비 2.0%포인트 낮아졌다. 부채가 있는 가구의 평균 부채 잔액은 1억201만원으로 1년 새 7% 줄었다. 하지만 월 부채 상환액은 고금리 영향으로 평균 85만원에서 93만원으로 8만원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