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의 1인 세대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급속한 고령화와 결혼을 기피하는 비혼(非婚)배주의가 확산한 결과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전국 1인 세대 수는 1002만1413가구로 사상 처음으로 1000만명을 넘어섰다. 2월말(998만1702명)에 비해 한 달 사이 3만9711명 증가했다.
3월말 1인 세대 수는 전체 2400만2008세대의 41.8%다. 우리나라 주민등록상 5세대 중 2세대가 혼자 살고 있는 것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60∼69세가 185만1705세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39세가 168만4651세대, 50∼59세가 164만482세대였다. 70대 이상 초고령층도 198만297세대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로 보면 인구가 많은 경기도와 서울시가 1인 세대도 많았다. 경기도에 225만1376세대, 서울에는 200만6402세대가 1인 세대였다. 성별로는 남자가 515만4408세대로 여자 486만7005세대보다 많았다.
3월 한 달 동향을 보면 1인 세대와 2인 세대가 증가한 반면 4인 세대 이상은 감소했다. 2인 세대는 2월 589만2869세대에서 3월 590만9638세대로, 3인 세대는 2월 403만591세대에서 3월 404만571세대로 늘었다. 반면 4인 세대는 312만7685세대에서 311만3527세대로 줄었다.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상 1인 세대는 통계청의 1인 가구 통계보다 다소 많다. '가구'의 경우 실제로 함께 살지 않아도 생계 등을 같이 하는 경우 1가구로 집계하지만, '세대'는 주민등록 주소지를 기준으로 구분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부부와 자녀 1명은 3인 가구지만, 이들이 주말 부부로 떨어져 살고 자녀도 학업 등을 이유로 다른 주소지에 거주한다면 1명씩 살아가는 3세대로 계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