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건물에 세를 얻어 입주한 소상공인 임차인이 지난해 임대인에게 지불한 평균 월세는 124만원이고, 가장 비싼 서울 지역 월세는 가장 낮은 전남·제주의 2.5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5일 내놓은 2023년 상가건물 임대차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임차인이 지불한 평균 월세는 124만원이었다. 서울이 177만원으로 가장 높고 과밀억제권역(부산·인천·수도권 주요 도시) 159만원, 광역시(부산·인천 제외) 121만원, 기타 90만원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에 이어 인천 176만원, 경기 171만원, 대구 119만원, 울산 116만원, 경북 110만원, 경남 108만원, 부산 104만원의 순서였다. 서울 지역 상가 월세는 가장 낮은 전남·제주(각 72만원)의 2.5배에 이르렀다.
이는 전국 8000개 임차(소상공인 7000개)·임대(1000개) 개인과 법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월세를 연체한 경험이 있는 임차인은 10.7%였다. 임차인이 지불하는 보증금은 평균 3010만원이었다. 보증금은 광역시 3273만원, 서울 3093만원, 과밀억제권역 3076만원, 기타 2844만원의 순서였다.
중기부와 소진공은 2002년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시행 이후 5년마다 시장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직전 조사는 2018년에 이뤄졌다. 2018년 조사 당시 임차인 월세와 보증금은 평균 각각 106만원, 2436억원이었다. 서울 월세와 보증금이 각각 144만원, 2624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임차인의 2022년 평균 매출액은 3억5900만원이었다. 매출 1억원 이상∼3억원 미만이 33.5%로 가장 많았다. 평균 순이익은 8200만원이고, 30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이 30.2%를 차지했다.
창업비용은 평균 9485만원으로 조사됐다. 이 중 시설비가 3013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보증금 2817만원, 원자재비 2040만원, 권리금 1003만원, 기타514만원, 가맹비 98만원의 순서였다.
임대인의 임대사업장 평균 개수는 8.6개이고, 2022년 기준 임대인의 월세 총수입은 평균 1억8640만원으로 조사됐다. 1억원 이상∼3억원 미만이 2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00만원 이상∼1억원 미만(19.2%), 30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18.5%), 2000만원 미만(15.5%), 3억원 이상(13.8%), 2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8.9%)의 순서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