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분기 합계출산율이 0.7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가 9개월째 감소하는 가운데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인구는 44개월째 자연 감소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3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2분기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70명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0.05명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9년 이후 최저치다.
2분기 기준 합계출산율은 2012년 1.26명을 정점을 기록한 뒤 2018년 0.98명으로 1명 아래로 내려갔다. 그 이후에도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2분기 출생아 수는 5만6087명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4062명(6.8%) 감소했다. 2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도 4.4명으로 1년 전보다 0.3명 줄었다. 산모의 연령대별로 보면 30∼34세가 6.3명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40세 이상(0.0명)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2분기 사망자 수는 8만3359명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사망자가 급증했던 지난해 2분기보다 7142명(7.9%) 줄었다.
6월 출생아 수는 1만8615명으로 지난해 6월보다 300명(1.6%) 줄었다.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91개월 연속 감소했다. 사망자 수는 2만6820명으로 1900명(7.6%) 늘었다.
6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인구는 8205명 자연 감소했다. 2019년 11월부터 44개월째 감소세다. 2분기에는 인구가 2만7272명 줄었다. 세종(321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인구가 자연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