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하반기 기준 50대 이하 부부의 절반 이상이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0일 내놓은 '2022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10월) 기준 맞벌이 가구는 584만6000가구로 1년 전보다 2만 가구 증가했다. 전체 유배우 가구(1269만1000가구)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46.1%로 0.2%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현재 기준으로 개편된 2015년 이후 가장 높다.
통계청은 지난해 하반기 고용시장의 호조세로 부부 모두가 일하는 가구의 비중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맞벌이 가구 비중 증가율을 보면 15∼29세 7.3%포인트, 30대 0.8%포인트, 40대 0.4%포인트였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50대(55.2%)와 40대(55.2%)가 55% 이상이었다. 이어 30대가 54.2%, 15∼29세가 50.1%였다. 15세∼59세 부부 절반 이상이 맞벌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제주(63.5%), 전남(56.4%), 세종(55.8%)의 순서로 높았다.
지난해 하반기 1인 가구는 722만4000가구로 1년 전보다 18만4000가구 늘었다. 이 중 취업 가구는 455만5000가구로 20만4000가구 늘었다.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2021년 대비 1.3%포인트 상승한 63.1%였다.
1인 임금근로자 가구의 임금 수준을 보면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율이 35.3%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0만∼400만원 23.7%, 400만원 이상 17.5%, 100만∼200만원 12.9%의 순서로 집계됐다.
월급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10.7%였다. 혼자 살아가는 임금근로자 10명 중 1명은 월급이 100만원에 못 미치는 것이다. 다만 월급이 100만원이 안 되는 1인 가구 비중은 1년 전과 비교해 1.1%포인트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