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인 반도체 경기 불황 여파로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에서만 4조5800억원의 적자를 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 적자는 2009년 1분기 이후 14년만이다. 최악의 반도체 업황 에도 삼성전자는 연구개발(R&D)에 사상 최대인 6조5800억원을 투입하고, 시설투자에도 1분기 기준 최대인 10조7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미래에 대비한 투자는 확대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6402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 지난해 1분기 대비 95.5% 감소했다. 매출은 63조74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1% 감소했다. 순이익은 1조5746억원으로 86.1% 줄었다.
특히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4조580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DS 부문 매출은 13조7300억원에 머물렀다.
메모리반도체는 D램의 경우 서버 등 고객사 재고가 많아 수요가 부진했다. 낸드의 경우 서버 및 스토리지의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고용량 제품으로 대응해 비트 그로스(Bit Growth, 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시스템LSI는 모바일, TV 등 주요 응용처의 수요가 적어 SoC(System on Chip), 센서, DDI(Display Driver IC, 디스플레이 구동칩) 등 주요 제품의 판매가 감소했다. 파운드리는 세계 경기 침체로 수요가 위축됐고, 고객사 재고 증가로 주문이 감소해 실적이 하락했다.
모바일·TV·생활가전 등이 포함된 DX(디바이스경험)부문은 매출 46조2200억원, 영업이익 4조2100억원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특히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MX 부문은 갤럭시 S23 판매 호조에 힘입어 매출이 증가하고 수익률도 두 자릿수로 회복됐다. 가전은 수요 위축과 비용 부담으로 부진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매출 6조6100억원, 영업이익 7800억원을 달성했다. 중소형 패널이 시장 위축으로 실적이 하락한 가운데 대형 패널은 QD(퀀텀닷)-OLED 신제품 출시로 적자폭이 줄었다.
어려운 환경에도 삼성전자는 미래 대비를 위한 투자를 크게 늘렸다. 올해 1분기 시설투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10조7000억원이다. 역대 1분기 기준 최대 금액이다. 1분기 R&D 비용은 6조58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메모리반도체에 지난해 수준으로 투자를 계속하고, 중장기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와 R&D 투자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