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가 국내 최초로 전기차 전용 공장을 건설해 고객 맞춤형 전기차 생산에 나선다. 경기도 화성 오토랜드에 짓는 목적기반차량(PBV) 전기차 전용공장으로 2025년 하반기 연산 15만대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11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등 정부 관계자와 정의선 회장 등 그룹 경영진, 현대차·기아 및 부품사 임직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아의 고객 맞춤형 전기차 전용공장 기공식을 했다.
기아의 이번 전기차 전용 공장은 현대차그룹이 1994년 현대차 아산공장 기공 이후 29년 만에 건설하는 완성차 제조 공장이다. 전기차 전용 공장으로는 국내 최초다. 약 3만평 부지에 1조원을 투입해 2025년 하반기 양산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다. 연간 15만대 생산능력을 갖추고, 이후 시장 상황에 맞춰 생산능력을 늘릴 계획이다.
기아의 전기차 전용 공장은 미래 혁신 제조기술을 적용하고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공장으로 구축된다. 현대차∙기아의 스마트팩토리 브랜드 이포레스트(E-FOREST) 기술로 효율화와 지능화를 추구한다. 이포레스트는 인공지능·빅데이터를 활용한 자동화 방식이 적용됐다.
기존 자동차 공장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옵션 장착장(CELL)을 도입한 '셀' 방식으로 다양한 고객맞춤형 차량 생산이 가능하다. 대량생산 방식에 첨단 지능형 방식을 융합해 다품종 유연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다.
도장 공정 중 발생하는 탄소와 유해물질을 저감하는 건식 부스를 운영하고, 자연채광 활용과 제조공정 축소로 탄소 배출량을 기존 공장보다 20% 저감한다. 아울러 머신러닝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차량 하부 도장품질 검사 자동화, 글라스와 엠블렘을 비롯한 부품 장착 자동화 등 혁신 기술을 도입한다.
무거운 중량물 작업이나 사람이 위를 보며 작업하는 공정 자동화를 추진하고, 공장 내부는 윗부분 개방감을 높이고 저소음 설비를 적용하는 등 인간친화적 공장 조성을 지향한다.
화성 전용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배달, 택시 등 상업 용도로 쓰이는 PBV다. 2025년 선보일 PBV 라인업 첫 모델(프로젝트명 'SW')은 중형급이다. 스케이드보드 형태의 PBV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차체를 유연하게 결합해 여유 있는 실내공간과 적재량을 확보할 수 있다.
기아는 중형 SW 출시 이후 일반 물류, 신선식품 배송, 다인승 셔틀, 이동식 오피스나 스토어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형 PBV를 비롯해 소형 PBV,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중형 로보택시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